제안 썸네일형 리스트형 1년도 안된 웹사이트의 단점을 찾아내야 하는 제안서 작성자들... 제안서를 작성하기 위해 벤치마킹은 필수 사항이다. 타사, 타업종 등 가리지 않고 관련사항이 있다면 무엇이든지 연관을 지어야 한다. 그리고 또 한 가지... 현재 '너네' 시스템의 무엇이 문제인지에 대해서도 칼날을 들이대야 한다. 그것이 설령 바로 직전 자기네들이 개발한 시스템이더라도 말이다. 그럼 왜 그리 칼날을 들이댈까? 솔직히 개인적인 생각으로, 고객을 만나서 이야기를 하다보면, 왜 필요치도 않은 이런 저런 사항들까지 얘기를 해야할까??? 라는 의구심이 생길 때가 있다. 뭐 궂이 이유를 들이대자면 그런한 것들을 추가해야 돈을 더 받고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일 것 같다. 가끔은 그런 제안을 하고 있는 내가 싫어질 때도 있긴하다. 예를 하나 들어보자. 자신만의 자동차를 만들고 싶어하는 고객이 있다. 그 .. 더보기 경쟁업체들이 드롭할 때는 다 이유가 있다... 호텔과 리조트를 가지고 있는 그룹에서 통합 프로젝트가 발주 되었다. 예산은 약 2억여원. 세일즈리포트에 의하면 4개 업체가 경쟁을 하고 마지막으로 우리 회사에 연락이 왔다는 것이다. RFP를 받아보니 제출일은 이미 지났고 PT일은 코 앞이었다. 제안 PM으로써 당연히 이상한 일정이 아닐 수 없었다. 영업을 통해 알아보니 우리 회사 얘기를 뒤늦게 듣고 제안참여를 해달라고 연락이 왔다는 것이다. 고객 반응도 상당히 호의적이었단다. 그래서, 특별히(?) 제안제출과 발표일까지 늦춰 주기로 했단다. 그래도 이상했다. 아무리 호의적이라 하더라도 이미 다른 업체의 제안서를 받고 PT일정까지 확정된 상황에서 타업체에 비해 일주일가량 이란 시간을 봐주면서까지 제안을 받겠다니... TFT를 구성하고 RFP Review를 .. 더보기 제안의 83가지 비밀 제목 : 전민수가 말하고 싶은 제안의 83가지 비밀 1장.제안 참여의 의사결정 ? 1. 제안을 수주할 것인가 ? 혹은 포기할 것인가 ? 2. 제안 원가계산 방법 ? 3. Risk 고려한 원가계산 ? 4. R&D의 목적을 위해 제안에 참여하는가 ? 5. 레퍼런스 목적을 위해 제안에 참여하는가 ? 2장.제안의 영업 전략 ? 6. 클라이언트 성격파악 ? 7. 기술협상이란 ? 8. 일회성인가? 혹은 차기 사업이 있는가 ? 9. 제안에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 10. 사전 영업이 안되었기 때문일까 ? 11. 혹시 제안의 들러리가 아닌가 ? 12. 제안서에 자물쇠가 잠겨져 있는가 ? 13. 제안서의 임자가 누구지 ? 14. 우리 회사의 네트웍 구성은 잘 되어 있는가 ? 15. 전년도 제안서 업체 분석이 되었는가.. 더보기 이전 1 다음